■ 부양가족 공제
▶이혼한 배우자 또는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, 며느리, 사위, 삼촌, 외삼촌, 고모, 이모, 조카, 사촌, 형제자매의 배우자는 부양을 하더라도 부양가족으로 기본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▶소득금액 합계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는 부양가족을 공제하지 않아야 합니다. 특히 해당 과세기간에 퇴사한 배우자 양도소득(감면받은 양도소득 포함)이 있는 부모님은 주의 하셔야 합니다.
▶맞벌이 부부가 자녀를 , 형제자매가 부모님을 중복으로 공제하지 않아야 합니다.
■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
▶20.12.31. 현재 주민등록등본표 상 세대법(세대원 포함) 2주택 이상을 보유한 경우는 공제가 안됩니다.
▶취득 시 기준시가가 5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취득한 경우 공제가 안됩니다.
▶배우자가 차입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의 이자상환액은 본인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■ 보험금 세액공제
▶기본공제대상자가 아닌 부양가족(피보험자)을 위해 지출한 보장성보험료는 세액공제가 안됩니다.
■ 의료비 세액공제
▶형제자매가 부모님을 위해 지출한 의료비를 본인 부담액을 각각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(부모님을 부양하는 1인의 의료비 지출액만 공제 가능)
▶보험회사 등으로부터 해당 의료비를 해당 의료비를 보전받는 실손보험금과 사내근로복지기금·국민건강보험공단(본인부담상한제)에서 받은 지원금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■ 교육비 세액공제
▶본인 외에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한 대학원 교육비는 세액공제가 안됩니다.
▶비과세 학자금과 사내근로복지기금에서 받은 지원금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■ 기부금 세액공제
▶적격 기부금영수증 발급단체가 아닌 자로부터 받은 기부금영수증으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 따라서, 기본공제대상자가 기부한 단체가 적격 기부금영수증 발급단체인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▶백지 기부금영수증을 교부받아 근로자가 직접 수기 작성한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■ 올해 중간에 입사 또는 퇴사한 경우
▶과세기간 중 중도에 입사 또는 퇴사한 근로자는 주택자금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·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와 특별세액공제 중 보장성보험료·의료비·교육비는 근로 제공기간 동안 지급한 비용에 한하여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그 외 공제항목은 해당 과세기간 지출액 전부가 공제대상 입니다.
2021/01/05 - [생활상식] - 2020 연말정산 Q&A
2021/01/15 - [생활상식] - 연말정산시 절세 방법!
'생활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융소비자보호법 25일 시행~!! (0) | 2021.03.25 |
---|---|
코로나 예방접종에 대한 모든것!! (0) | 2021.01.29 |
연말정산시 절세 방법! (0) | 2021.01.15 |
(소상공인 버팀목자금) 1월 11일부터 지급! (0) | 2021.01.11 |
신용점수 평가 대폭 개편~ (0) | 2021.01.06 |